코로나 완치자도 백신을 맞아야합니까?

오늘은 코로나19 확진 후 완치된 경우 백신을 맞아야하는지를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관련 내용을 안내드리겠습니다. (감염내과 의료진의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코로나 완치자도 백신을 맞아야합니까?

이것은 미국 켄터키주 연구 결과입니다. 2020년도에 코로나19에 감염 후에 회복된 대상자들 중에서 2021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재감염이 됐던 사람과 재감염되지 않았던 사람을 매치시켜서 분석했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백신을 맞지 않았던 사람이 맞은 사람에 비해서 재감염될 위험이 2.34배 크다라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코로나19에 감염 후 회복된 사람도 백신을 맞았을 때 이득이 있다라는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다음 연구는 이스라엘에서 진행된 연구입니다.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던 군과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된 군 그리고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다음에 1회 백신 접종을 맞았던 군을 나누어서 비교를 했으며, 몇 가지 모델을 구축을 해서 감염 위험이 얼마나 낮거나 높은지를 평가했습니다.

첫 번째 모델에서는 백신을 맞았던 백신 접종자가 코로나19 회복자보다 감염에 대한 위험이 13배 정도 크다라는 것을 보여줘서 코로나 19 회복자가 강한 면역력을 갖는다라는 걸 보여주었고, 두 번째 모델에서는 약 5.96배 정도 백신 접종자보다 코로나19 회복자가 감염 위험이 낮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그리고 모델 3의 결과가 최근 우리가 궁금해하는 내용에 대한 결과인데, 코로나 19 회복자와 회복 후 1회 접종을 완료했던 분을 비교해 봤을 때 1회 접종 완료자가 한 50% 정도 감염 위험이 낮아진다라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어서 코로나19로부터 회복했더라도 백신 접종을 맞아야 된다는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
또 다음 연구는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다음에 백신을 맞았을 때 여러 가지 변이주에 대한 중화항체가 얼마나 상승하는지를 분석한 연구입니다.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사람들은 변이주에 대한 중화 항체가가 비교적 낮습니다. 근데 그런 사람들이 한 번 백신을 맞았을 때는 변이주에 대한 중화항체가 1천 배 가까이 올라가는 걸 확인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 사람들이 2차 접종까지 맞았을 때는 추가로 더 올라가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분들도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또 변이주에 대한 중화항체가를 높이기 위해서 추가 접종을 백신을 맞아야 된다라는 결과를 알 수가 있겠습니다.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분들이라고해서 특별히 다른 백신을 맞으시는 건 아닙니다. 연령이나 기저질환을 고려해서 배정된 백신을 맞으시면 되겠습니다.
코로나 19 회복자의 접종 시기에 대해서는 예방 접종 당시에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 일단 증상이 모두 회복되고 격리가 해제된 이후에 접종을 하셔야 됩니다. 최근에 여러 가지 델타 변이를 비롯한 변이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 가지 유증상 재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감염 후에 6개월 이내에 접종을 맞으실 걸 권고하는데요. 이것은 회복자들의 항체가가 4개월 6개월 정도면 많이 떨어지게 된다는 분석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런데 특별히 코로나19 감염 후에 다닐 클론 항체라든지 혈장 치료 같은 항체 기반의 치료제를 맞은 대상자는 예방접종으로 인해서 유도하는 면역 반응과 항체 치료 간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90일 이후에 접종을 시행할 것 권고하고 있습니다.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다장기 염증 증후군이라는 질병이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다장기 염증 증후군을 진단받은 경우에는 최소 90일 이후 다장기 염증 증후군이 모두 회복된 이후로 접종을 미뤄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접종 시기를 코로나19로부터 회복된 이후로 미루셔야 되고 항체 치료라면 항체 치료를 받았던 분이라면 90일 이후로 미루셔야 되는데요. 접종으로 인해서 이상 반응이 더 높다거나 더 심하게 생긴다거나하는 결과가 제시된 바가 없기 때문에 그냥 일반적인 기준에 따라 백신을 접종하시면 되겠습니다.